4.3.2. Option Field Behavior

4.3.2 옵션 영역(필드) 성격

Generally speaking, all option fields have been classified as changing. This section describes the behavior of each option referenced within an RFC, listed by 'kind' indicator.

일반적으로 말해 모든 설정 영역(옵션 필드)은 변화에 따라 분류됩니다. 이 절에서는 각 RFC 에 참조되어 어떤 '성질'에 의해 분류된 옵션을 설명합니다.

0: End of Option List

0: 옵션 목록(옵션 리스트)

This option code indicates the end of the option list. This might not coincide with the end of the TCP header according to the Data Offset field. This is used at the end of all options, not at the end of each option, and it need only be used if the end of the options would not otherwise coincide with the end of the TCP header. Defined in RFC 793 [2].

이 옵션 번호(코드)는 옵션 목록의 끝이라는 것을 표시합니다. 이건 데이터 오프셋 영역에 따른 TCP 헤더의 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값은 모든 옵션 값의 끝 부분에 사용되며, 각 옵션 값들의 끝은 아니고 TCP 헤더가 끝 부분과 관련이 없을 때 끝을 표시하는 데에 필요합니다. RFC 793 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There is no data associated with this option, so a compression scheme must simply be able to encode its presence. However, note that since this option marks the end of the list and the TCP options are 4-octet aligned, there may be octets of padding (defined to be '0' in [2]) after this option.

이 옵션 값에는 어떠한 (전송과 관련된) 데이터 값이 연관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니 그 존재만으로 구별될 수 있게 간편하게 부호화시켜야 합니다. 하지만 이 값이 목록의 마지막을 표시하고 TCP 옵션 값이 4비트로 맞춰 있다면 이 옵션 값 뒤에 8진수의 끼워 넣어 맞추는 부분이 필요합니다.

Posted by 카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