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Connection Count (CC)
11: 연결 횟수(CC)
This option is part
of the implementation of TCP Accelerated Open (TAO) that effectively bypasses
the TCP Three-Way
Handshake (3WHS). TAO introduces a 32-bit
incarnation number, called a "connection count" (CC), that is carried
in a TCP option in each segment. A
distinct CC value is assigned to each direction of an open connection. The implementation assigns monotonically
increasing CC values to successive connections that it opens actively or
passively (see RFC 1644 [8]). This
option sees little (or no) use in the current Internet, so the only requirement
is that the header compression scheme be able to encode it.
이 옵션 값은 TCP 3-방향 핸드셰이크(3WHS 교신)를 효율적으로 통과시키는 TCP 악셀레이티드 오픈(가속된 공개 – T/TCP에서 공개한 연결 설정 시 패킷의 수를 줄일
수 있는 기술) (TAO)에서 구현한 것들 중에 일부 입니다. TAO
는 ‘연결-횟수’ (CC) 라 불리는 TCP 연결 옵션 상에 실려 구현화된 32-비트 번호를 소개했습니다. 떨어진 CC 값은 각 방향의 개방된 연결 방향이 부여됩니다. 단조로운 값의
증가는 성공적이고 적극적이거나 수동적인 공개 연결을 의미하는데 부여 됩니다. (RFC 1644를 참조
하세요). 이 옵션도 현재 인터넷에서 거의(또는 전혀) 쓰이지 않기 때문에 부호화 시 헤더 압축 틀에서만 고려되는 사항입니다.